Search

2024.06.17

2024.06.17

한국은행, 주거용 리츠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가계부채 비율을 낮추기 위해 주택금융에서 리츠를 활성화하면 가계 부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최근 국민 계정 기준년 개편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다소 낮아졌지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주요국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하면서 “가계부채는 대출 중심의 부동산 금융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낮추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는데요.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상업용 부동산에 활성화된 리츠 활용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이 총재는 “지금까지 상업용 부동산 위주로 이뤄졌던 리츠 투자를 주거용 부동산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며 “리츠를 활용하면 주택 구입 자금의 상당 부분을 대출이 아닌 자본 방식으로 조달하게 돼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리츠를 활용한 방식은 자본시장에 새 투자 상품을 제공하고 실수요자인 가계에 집중됐던 주택 가격 변동 리스크를 분산해 거시 건전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도, 홍콩 제치고 세계증시 4위 올라 인도 경제지 비즈니스스탠더드에 따르면 16일 인도 증시 시가총액은 5조 2,000억달러로, 아시아 금융허브인 홍콩(5조 1,700억달러)을 넘어 세계 4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도는 14억 명에 달하는 인구를 기반 삼아 급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소비대국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는데요.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올해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6.1%로, 세계 평균(2.7%)의 두 배를 웃돕니다. 이에 더해 미·중 갈등이 확산하면서 심화된 탈중국 현상도 인도 투자 열풍을 키우고 있는데요. 프랑스 투자은행 소시에테제네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증시에 들어온 글로벌 투자금은 80억달러였으나 인도 증시에는 200억달러가 유입됐습니다. 이에 따라 CNBC에 따르면 지난해 238개 기업이 인도 증시에 입성해 73억 5,000만달러를 조달했으며, 올 들어 지난 12일까지 130개 기업이 추가되는 등 인도 증시에 기업공개(IPO)를 하는 기업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I 빅테크 포진한 美증시, 최근 세계 펀드 자금 94% 빨아들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미국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투자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탄탄하게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인공지능(AI) 붐에 올라탄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세가 돋보입니다.
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대표적이다. 엔비디아의 자체 회계연도 1분기(2~4월) 매출액은 260억4000만달러(약 36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같은 기간 매출과 비교하면 262% 급증했습니다.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엔비디아는 작년 초부터 지금까지 1년 반 동안 주가가 800%나 올랐다. 엔비디아 뿐만이 아니다. 올 1분기 미국 대표 지수인 S&P500 소속 기업 중 390곳(78%)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깜짝 실적을 내놨습니다. 혁신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미국 증시는 자금의 블랙홀입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자금의 미국행이 트렌드로 굳어지는 분위기입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300억달러(약 41조6700억원)의 자금이 주식·펀드에 새로 유입됐는데, 이 가운데 94%가 미국에 투자됐습니다.
사모펀드 투자한 美 연기금 절반 돈 묶여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사모펀드에 투자한 연기금 가운데 거의 절반이 예상 일정에 수익을 지급하지 않는 사모펀드에 돈이 묶여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프리 파이낸셜 그룹에 따르면 연기금은 사모펀드 지분을 원금 손실에도 불구하고 재매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사모펀드 투자자가 2차 시장에 지분을 되파는 규모도 전년도보다 7% 증가한 60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고금리 영향으로 연기금들이 사모펀드에서 원금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 매입에 함께 활용한 대출 이자도 늘었으며, 사모펀드가 대출 이자를 감당하기 위해 매입 구조 등을 복잡하게 만들면서 연기금이 발을 빼고 싶어도 사모펀드가 당장 돈을 지불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기업을 매각하려 해도 고금리로 자금 조달 문제로 잠재적 구매자들도 감소한 상황입니다. 특히 미국 최대 규모인 캘리포니아의 근로자 연금은 8년 연속 사모펀드 포트폴리오에 투자 수익보다 더 많은 돈을 운용 비용으로 지급했습니다.
저축은행, 상반기 1조원 규모 부실채권 정리 나서 저축은행들이 상반기 매각을 추진하는 부실채권 규모가 1조 46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중 저축은행중앙회가 주관한 2차 PF 정상화 펀드가 5,10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데요. 이번 PF 정상화 펀드 운용은 웰컴저축은행 계열사인 웰컴자산운용과 한국투자저축은행 계열사인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각각 2,800억원, 2,300억원씩 맡았습니다. 또한 저축은행들은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NPL)을 우리금융F&I와 키움F&I, 하나F&I 등 유동화전문회사에 매각하기로 했으며, 개별업체 부실채권 3,000억원가량도 대손상각한다는 방침입니다.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올 1분기 평균 8.8%를 기록했는데요. 1분기 저축은행의 총여신은 101조 3,000억원으로 이달 1조원가량 부실채권 정리가 이뤄진다면 연체율을 약 1%포인트 낮출 수 있게 됩니다.
상속세 개편 시동…과표·공제 상향조정 무게 정부와 여당이 '증시 밸류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가업상속 세제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상속세 체계까지 손질해야 한다는 기류 속에 전반적인 상속세 개편에 나섭니다. 현재 일괄공제 5억원과 배우자 최소공제액 5억원까지 총 10억원을 넘어서는 상속재산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상속세 납부 대상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에는 대통령실과 여당, 세제당국까지 공감대가 이뤄진 상태입니다. 현재 상속세는 과표구간별로 ▲ 1억원 이하 10% ▲ 1억~5억원 20% ▲ 5억~10억원 30% ▲ 10억~30억원 40% ▲ 30억원 초과분 50%의 세율이 각각 부과되며, 이 같은 과표구간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와 함께 최고 50%에 이르는 세율을 소폭 하향조정하는 방안도 논의 대상입니다.
롯데, 美 시카고에 L7 호텔 오픈 롯데호텔앤리조트가 미국 시카고에 부티크 브랜드 ‘L7’을 오픈했습니다. L7이 해외에 호텔을 낸 것은 베트남 하노이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해당 호텔은 14층, 191실 규모로 인테리어 디자인은 글로벌 디자인 기업인 아브로코가 맡았습니다. 한국 전통 직물인 조각보에서 영감을 얻어 새 호텔 객실 내 카펫 패턴과 램프 갓 등의 디자인에 적용했으며 한국 호텔의 정체성을 최대한 살린 레스토랑도 입점시켰습니다. 롯데호텔앤리조트는 5성급 럭셔리 호텔이 컨벤션 등 갖춰야 할 부대시설이 많아 투자비가 크게 들고 의사 결정도 오래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 기존 해외 시장 진출 전략을 4성급 부티크 호텔 중심으로 바꿨는데요. 이번 L7호텔 역시 이 같은 기조의 연장선상으로 풀이됩니다.
금융당국 PF 사업성 평가 개선에 PF 사업장 정리 우려 줄어들어 최근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기준을 개선하고 예외 조항을 추가해 건설·개발업계에서 무분별한 사업장 정리에 대한 우려가 다소 줄어들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대한건설협회와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한국부동산개발협회 등을 대상으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개선안을 설명했는데요. 이날 설명회에서는 그간 업계가 요구해온 사업성 평가 기준 세부 방침이 제시됐습니다. 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 등 4단계 평가 등급을 두고 현장 상황 등에 따라 각종 예외 조건을 허용했으며, 계약 후 18개월이 넘고 공정률이 부진하더라도 일시적인 경우에는 유의 등급에서 배제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분양률이 저조해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보증을 받았다면 사후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지 않는 등 유의나 부실 우려 판정을 받더라도 경·공매로 바로 넘어가지 않도록 했습니다. 이에 따라 아파트 사업장 상당수가 강제 경·공매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회 이상 유찰된 경·공매 PF 사업장을 부실 우려 등급으로 판정할 때 적용하는 유찰 횟수 산정 기준 역시 완화했습니다. 1회 유찰 이후 3개월 안에 이뤄진 경·공매는 추가 횟수에 포함하지 않고, 최저 입찰가로 진행된 경·공매만 포함하게 됩니다. 다만 시공사 보증을 PF 사업성 평가에 반영해달라는 업계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사업성 평가 기준 완화 등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리=정희원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