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023.08.14

2023.08.14

마스턴, 해외부문 대표에 조용민 부대표 선임
마스턴투자운용은 11일 조용민 리츠부문 부대표를 해외부문 대표로 선임했다고 밝혔습니다. 조 대표는 전날 주주총회에서 관련 안건이 의결됨에 따라 리츠부문과 함께 해외부문 대표의 역할을 맡게 됐는데요. 조 대표는 국내 건설사를 거쳐 삼성생명 부동산사업부, 하나UBS자산운용 실물자산본부,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글로벌대체투자팀 등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습니다. 마스턴투자운용에는 2018년 해외투자본부장으로 합류해 프랑스 파리 소재 크리스탈 파크 오피스, 오스트리아 비엔나 소재 힐튼 호텔 등 해외 우량자산을 매입하며 해외 부동산 전문가로 활약했습니다. 2021년에는 리츠부문 부대표로 선임됐고, 2022년에는 마스턴투자운용의 첫 공모리츠인 '마스턴프리미어리츠'를 상장시키는 데 일조했습니다. 조용민 대표는 "마스턴투자운용과 마스턴프리미어리츠의 투자 포트폴리오 리스크 관리를 현재 가장 중요한 책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현재 구상하고 있는 해외부문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실현시킬 수 있는 조직의 체력 강화에 힘쓸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조용민 마스턴투자운용 해외부문 대표 /사진=마스턴투자운용 브랜드전략팀
주요 투자은행, "한국, 내년에도 1%대 저성장 전망"
바클레이즈·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씨티·골드만삭스·JP모건·HSBC·노무라·UBS 등 8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IB)이 지난달 말 기준 보고서를 통해 밝힌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9%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한 달 전인 6월 말 기준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2.0%)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하락한 수치입니다. 세부적으로는 골드만삭스(2.6%), 바클레이즈(2.3%), BoA-ML(2.2%) 등 3개 기관은 내년 우리 경제가 다시 2%대 성장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씨티·JP모건(1.8%), UBS(1.7%), HSBC(1.6%), 노무라(1.5%) 등 5개 기관은 한국 성장률이 내년에도 1%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들 투자은행의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 평균은 1.1%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에 못 미치는 성장을 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글로벌 투자은행의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우리 정부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초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2.4%를 제시했으며,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2.3%를 제시했습니다. 투자은행은 성장률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경상수지 흑자폭 역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한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이 지난해 1.8%에서 올해 1.6%로 하락한 뒤 내년 2.4%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 2900억弗 싸들고 미국으로
미국 정부가 자국에서 생산한 반도체와 전기자동차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는 법률을 제정한 지 1년 만에 세계 주요 기업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경우가 대폭 늘어났습니다. 지난 1년간 관련 기업의 미국 투자액(발표 기준)이 반도체 분야에서 2100억달러, 배터리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최소 800억달러 등 총 2,90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됩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대만 TSMC가 애리조나주 공장 신설에 4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으며, 인텔, 마이크론, 텍사스인스트루먼츠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자국에 각각 110억~300억달러를 투자합니다. 전기차 배터리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LG그룹이 자동차 배터리 공장으로서는 최대 규모인 55억달러를 투자해 애리조나주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며, 삼성그룹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30억달러를 공동으로 투자할 계획입니다. 한화큐셀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최대 규모인 25억달러를 투입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대규모 대미 투자는 미국 정부가 작년에 ‘반도체 칩과 과학법(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과시켰기 때문입니다.
中, 외국인 투자유치 촉진…"국내기업과 동등대우"
중국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한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해 외자기업에 '중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보장한다는 방침을 내놨습니다. 중국 국무원은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과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무원은 중점 영역에서 외자 유치를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업 확대 개방 종합 시범지역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동부 해안 지역에 몰린 외자기업의 중국 내 투자 지역을 내륙으로 단계적으로 넓히고 외국인 투자 채널도 다변화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정부 조달 사업에 외자기업도 중국 국내기업과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외자기업에 대한 ‘동등대우’를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지식재산(IP)의 행정적 보호 수준을 높여 외자기업의 투자 권익을 지켜주고, 외자기업 내 외국인 종업원의 중국 거주 정책을 간소화해 편의를 봐줘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이에 더해 금융·세제 지원을 강화해 외자기업의 중국 내 재투자를 장려하고, 투자 유치 메커니즘도 손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정부, 건전재정 기조 유지…지출 증가율 3%로 낮춘다
기획재정부가 내년 예산 증가율을 올해 대비 3%대로 제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이는 올해 예산 증가율 5.1%보다 낮춘 것으로 물가와 경제성장을 감안할 때 사실상 긴축 수준입니다. 3%대 증가율은 정부가 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예상한 내년 경상성장률(4.9%)보다도 낮은 수치로 산 증가와 물가 상승 등으로 경제 규모가 커지는 정도보다 예산을 적게 늘리겠다는 의미입니다. 기재부의 이 같은 움직임엔 건전재정 중시 기조가 깔려 있습니다. 앞서 2018~2022년 예산안의 총지출 증가율이 연간 7~9%대에 달하는 등 재정지출을 공격적으로 늘린 바 있는데요. 그 결과 국가채무가 400조원 넘게 늘었습니다. 이후 기재부는 이례적으로 전 부처에 5월 말 제출한 예산요구안을 건전재정 기조에 맞춰 다시 제출하도록 요구하며 대대적인 지출 구조조정에 나섰습니다. 올해 상반기 국세 수입은 178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조7,000억원 줄어든 점도 정부가 지출 증가율을 낮출 수밖에 없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정부, 올해 한은에 100조원이상 빌렸다…13년 내 최대
경기와 부동산 거래 부진 등으로 세금이 예상만큼 많이 걷히지 않자, 정부가 올해 들어서만 한국은행에서 100조원이 넘는 돈을 빌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3년 내 가장 큰 대출 규모로, 이미 한은에 지급한 이자만 1,1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미 지난해 전체 누적 일시 대출액(34조2,000억원)의 2.94 배에 이르고, 코로나19 발병과 함께 갑자기 돈 쓸 곳이 많아진 2020년 1∼7월(90조5,000억원)의 대출액도 넘어섰습니다. 한은의 대정부 일시대출 제도는 정부가 회계연도 중 세입과 세출 간 시차에 따라 발생하는 일시적 자금 부족을 메우기 위해 활용하는 수단인데요. 13년 만에 가장 많이 이른바 '한은 마이너스통장'을 이용했다는 것은 그만큼 쓸 곳(세출)에 비해 걷힌 세금(세입)이 부족해 재원을 '임시변통'하는 일이 잦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들어 6월까지 정부의 총수입(296조2,000억원)에서 총지출(351조7,000억원)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월 말 기준 55조4,000억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한전, 2분기에도 영업적자 2조원대…2년간 누적적자 47조
한전은 올 2분기에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 19조6,224억원, 영업적자 2조2,72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아홉 분기 연속 적자로, 이에 따라 한전의 영업적자는 올 상반기에만 8조4,500억원으로 불어났습니다. 2021년 이후 누적 영업적자는 47조5,000억원에 달합니다. 한전 영업적자는 그동안 물가 안정과 국민 부담을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오면서 원가 이하로 전기를 팔았기 때문입니다. 한전이 발전사에서 전기를 사올 때 드는 전력도매가(SMP)는 2분기에 ㎾h당 151.71원이었는데 한전이 가정이나 공장에 파는 전기요금은 145.48원이었습니다. 다만 그동안 일부나마 전기요금이 오른 가운데 천연가스 등 국제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작년 4분기 10조8,000억원까지 치솟았던 영업적자는 점차 축소되는 추세입니다. 2분기 영업적자는 2021년 2분기 이후 2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입니다. SMP가 낮아지는 지금 추세가 지속되면 올3분기 흑자전환이 유력합니다. 다만 2021년 이후 누적 적자만 47조원대에 이르는 데다 부채 규모도 3월 말 기준 198조원에 달하기 때문에 흑자 전환하더라도 그동안 악화한 재무구조를 단기간에 개선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5대은행 주담대 열흘만에 1.2조↑
13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10일 현재 679조8,89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7월 말(679조2,208억원)과 비교해 이달 들어 열흘 만에 6,685억원 또 늘어난 수치입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같은 기간 1조2,299억원(512조8,875억원→514조1,174억원)이나 뛰었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정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최근 인기를 끄는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에 일제히 연령 제한을 두는 등의 방법으로 다시 가계대출의 고삐를 죌 예정입니다. 대출 상한 연령은 '만 34세 이하'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은행의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2분기 말(6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17조3,220억원으로, 1분기 말(13조8,690억원)과 비교해 불과 3개월 사이 3조4,530억원(24.9%) 급증했고, 케이뱅크의 주택담보대출도 1분기 말 2조8,300억원에서 2분기 말 3조7,000억원으로 30.1% 뛰었습니다. 정부와 금융권에서는 이처럼 주택담보대출을 빠르게 늘리는 인터넷은행들의 영업 행태가 인가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올 2분기 정부소비, 26년만에 최대폭 하락
14일 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정부 소비(계절조정·실질지수)는 전 분기보다 1.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997년 1분기 2.3% 줄어든 뒤로 26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코로나·독감 환자 감소로 건강보험 급여가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2분기 정부 소비 감소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지만 남은 하반기에도 정부 지출은 여전히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한국은행과 KDI는 하반기 정부 소비 증가율(전년 동기대비)이 상반기보다 각각 1.7%포인트, 1.2%포인트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는데요. 그러면서 최근 역대급 세수 펑크를 정부 지출 증가율 전망을 낮춘 원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다만 문제는 최근 국제유가 인상, 이상기후 등으로 물가 불안 우려가 여전하고 제조업·건설업 회복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민간의 불확실성에 대응한 적극적인 재정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조금씩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전재정' 기조를 강조해 온 정부로서는 지출 구조조정, 예산 불용 등을 제외하면 단기간에 꺼내 들 카드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리=정희원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