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1
트럼프, "미국 최우선, 불공정 관행 용납하지 않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는 더이상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와 관련하여 미국 선박들이 불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언급하며 파나마 운하를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해 남부 국경에 군대를 파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문제와 관련해서는 내각 구성원에게 인플레이션을 물리치고 물가를 낮추기 위해 방대한 권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석유·가스 시추 등을 허용하며 미국 에너지를 세계에 수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 종료와 함께 전기차 의무화를 철회해 자동차 산업을 보호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지난해 5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 역대 최대
작년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냉각기를 보낸 것과 다르게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초고가 아파트 거래 건수는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서울의 5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394건으로 역대 가장 많았는데요. 이는 전년 151건과 비교했을때 2.6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거래의 전체 84%가 강남구(207건)와 서초구(123건)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0억원을 넘어서는 아파트 거래도 지난해 21건을 기록으며 이 중 9건의 거래가 용산구에서 이뤄졌습니다.
이사철 시작에도 서울 아파트 전셋집 부족 심화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지난해 1월 대비 14.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월 19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3만28건으로, 1년 전의 3만5,103건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특히 25개 자치구 중 19개 자치구에서 전세 매물이 줄어들며 전세 시장의 위축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불황, 신규 입주 물량 증가, 월세 전환 수요 등이 전세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계절적 비수기와 연말·연초의 대규모 입주 영향으로 당장은 매물이 여유로워 보일 수 있으나, 연내 공급 부족이 심화될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청약통장 없이도 가능…‘국평주택’ 새 분양 모델 등장
도심 역세권에 청약통장 없이 분양받을 수 있는 ‘국민평형(30평형대)’ 아파트형 주택이 들어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일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 면적 제한 완화 등을 담은 주택법 시행령과 주택법 시행규칙 등 개정안이 21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아파트형 주택은 전용면적은 5층 이상 지을 수 있지만 60㎡를 초과할 수 없었는데요. 앞으로 85㎡까지 지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부가 이번에 면적 제한을 푼 건 비(非)아파트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번에 면적 제한이 사라지면서 아파트형 주택은 사실상 아파트와 별 차이가 없어졌다는 평가입니다. 다만 공사비가 급등하고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실제 공급 확대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JLL "2025년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 금리 인하 기대감 속 안정세 전망"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회사 JLL 코리아는 최근 보고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 2024년 회고 및 2025년 전망"에서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2024년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회복력을 보여주었으며, 2025년에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새로운 섹터의 부상으로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LL에 따르면 2024년에는 물류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오피스 섹터에서는 아크플레이스(약 7,920억 원), 더에셋(약 1.1조 원), 돈의문 D타워(약 8,950억 원) 등 대형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호텔 및 리테일 섹터 역시 팬데믹 여파에서 벗어나며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으며, 특히 럭셔리 호텔인 콘래드 호텔과 같은 거래가 주목받았습니다. 반면 물류 섹터는 오피스 시장으로 투자 수요가 이동하며 매수자 풀이 제한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5년에는 주요 경제국들의 금리 인하와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정리=정상원 인턴